SQL2 [11-1] 절차형 SQL 절차형 SQL: 절차형 SQL이란? 일반적인 개발 언어처럼 SQL언어에서도 절차 지향적인 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랜잭션 언어이다. 절차형 SQL 종류 프로시저(Procedure): 일련의 쿼리들을 마치 하나의 함수처럼 실행하기 위한 쿼리의 집합 사용자 정의함수(User-Definde Function): 일련의 SQL처리를 수행하고, 수행결과를 단일 값으로 반환할 수 있는 절차형 SQL 트리거(Trigger):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삽입, 삭제, 갱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 프로시저의 구성 (디비컨SET) 선언부(DECLARE): 프로세스의 명칭, 변수와 인수 그리고 그에 대한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부분 시작/종료부(BEGIN/END): 프로시저의.. 2021. 10. 9. [11] SQL응용 -데이터베이스의 기본 (DDL, DML, DCL) 트랜잭션(Transaction):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장하기 위해 DBMS가 가져야 하는 특성이자,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기본 단위이다. 트랙잭션 특성 (A/C/I/D) 특성 설명 주요기법 원자성(Atomicity) 분해가 불가능한 작업의 최소단위 연산 전체가 성공 또는 실패 하나라도 실패할 경우 전체가 취소되어야 하는 특성 Commit/Rollback 회복성 보장 일관성(Consistency) 트랜잭션이 실행 성공 후 항상 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보존해야 하는 특성 무결성 제약조건 동시성 제어 격리성(Isolation) 트랜잭션이 실행 중 생성하는 연산의 중간 결과를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불가능한 특성 Read Uncommit.. 2021. 10. 8. 이전 1 다음